Loading...
Success Story2017-06-29T11:20:56+09:00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최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정책 결정을 위해 도서관 데이터를 확보하고 다양한 공공 데이터와 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운영의 과학화를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추진하는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분석플랫폼 및 서비스 구축 사업을 (주)아르고넷이 2014년 부터 수행하였습니다.

사서의사결정지원서비스(솔로몬)을 비롯해서 대국민 도서관분야 서비스인 도서관정보나루, R기반의 통계분석시스템(Radar)까지 다양한 이용자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르고넷은 하둡(Hadoop)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도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2017/06/29 목|

ETRI 지식정보공유 플랫폼 구축

지식공유플랫폼은 ETRI 연구성과 리포지터리로서 연구원의 연구자, 과제, 부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연구정보 및 성과정보를 원활히 공유/공개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연구기관에서 생산되는 연구성과물의 전주기적 품질관리와 더불어 성과물의 종합관리를 통해 평가의 투명성 향상과 대외 유통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1차 사업을 통해 연구원 내 베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차(고도화) 사업을 거쳐 일반인에게 공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2017/02/16 목|

기관 성과 관리, 한번에 관리하세요 – KAIST ‘RIMS’

OSMU(One Source Multi Use) 개념을 기반으로 구축된 RIMS(Researcher Informaion Management System)는 기관 구성원이 생산하는 모든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비스 입니다. 논문, 학술자료, 학술대회 자료, 특허, 기술이전 자료 등 기관 구성원이 생산한 자료를 단 한번의 등록 절차만 거치게 되면 기관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구성의 개개인의 평가 및 자료 보존, 내부 자료 활용뿐만 아니라 IR을 통해 성과를 확산하고 기관의 위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월초에 KSLA(한국도서관전문협의회)에서 발행될 ‘톡톡 튀는 도서관 정보서비스’ 소식지에서 Best Pracice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2012/03/01 목|

iLibrary – 개인화전자도서관서비스

KAIST(한국과학기술원)의 ‘iLibrary’ 서비스는 이용자 개인의 정보욕구에 최적화된 동적이며 개별 이용자 중심의 신개념 개인화도서관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연구학술정보서비스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도서관 목록 검색수준의 서비스를 탈피하여 다양한 외부정보원을 포함한 개인 정보저장소(My Shelf) 중심의 정보 활용 전주기에 걸친 지원을 통해 연구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번주 대구에서 열리는 ‘제47회 전국도서관대회’에서 아래와 같이 사례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주 제 : 스마트폰@U-Library
– 일 시 : 대회 첫날(9월 29일) 16시30분
– 장 소 : 대구전시컨벤션센터(EXCO) 314호(3층)
– 발표자 : 손청기(한국과학기술원)

또한 대회에서 배포되는 ‘KSLA Bulletin’에도 관련내용이 개재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2010/09/01 수|

연구성과에 날개를 달아라!! – KAIST ‘KOASAS’

KOASAS(KAIST Open Access Self-Archiving System)

개요

  • KAIST 교수님들의 연구 결과물에 대한 Open Access Self-Archiving 기반의 Institutional Repository 시스템
  • 서비스이용 대상자는 저작 논문의 최종 책임을 가진 KAIST의 전 교수님들
  • DSpace 시스템을 KAIST 환경에 맞게 개선
  • 연구결과물의 관리기능과 성과확산 기능​
  • 대상논문 : 디지털화된 연구 결과물 전체를 대상으로 함

이용자 사이트

  • 해당 Community 의 하위 Collection과 최근 등록된 자료 제공
  • 루씬(Lucene) 기반의 빠른 검색결과 제공

운영자 사이트

  • 다양한 형태의 통계 유형 제공
  • DSpace 기본모델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확장기능 제공
  • DC 필드별 다양한 확장성 제공

도입효과

  • KAIST 구성원의 연구성과 확산과 인용횟수 증가 및 기관의 학술연구활동 홍보
  • 분산적인 정보 유퉁의 중앙집중화로 인한 비용절감 및 조직의 효율성 향상
  • 연구물 중간보고 공유로 인한 중복연구 방지
  • 영구적인 URL 부여로 각 논문의 고유성 및 지속성 유지
  • 해당 대학, 학과의 특성있는 저작물 수집 가능 및 이용 활성화
  • Webometrics의 대학순위 향상에 기여하여 KAIST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 (2007년 1월 365위 -> 2008년 1월 306위 -> 2009년 1월 204위)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정보들

IR(Institutional Repository)
  • IR(Institutional Repository)이란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이 생산한 학술정보를 공공의 시각에서 수집하고, 축적하여 학내 외의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전자서고라 할 수 있습니다.
  • An Institutional Repository is an online locus for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 in digital form – the intellectual output of an institution, particularly a research institution From Wikipedia
OAI(Open Archives Initiative)
  •  OAI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유통시키고, 상호 운용성을 갖는 표준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 단체로,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OAI-PMH (Open Archives Initiative-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를 제안하였습니다
DSpace (http://dspace.org)
  • DSpace는 디지털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Open Source Software 패키지입니다. MIT Library 와 HP의 합작으로 2002년 11월 처음으로 릴리즈된 이래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Institutional Repository 소프트웨어입니다.
  • 특장점
    •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이용자와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유
    • 현재 전세계 250개 이상의 기관이 Dspace 시스템을 채택하여 사용 중
    •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완벽한 커스터마이징 가능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셋 등 모든 유형의 디지털자료를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음
    • Handle system을 통한 Global Unique Identifier 부여
    • OAI-PMH 지원, OpenURL 지원, RSS 지원을 통한 표준화된 방식의 Open Access를 제공
R2DSpace 제품 보기
2010/03/29 월|

야후, 구글에서도 서울대 논문이 검색돼요 – 서울대학교 ‘S-Space’

KAIST에서의 성공이후 R2DSpace는 서울대학교의 부름을 받게 됩니다. 지난 2/19일자 한국일보 기사에 따르면 서울대는 ‘디지털 서고(書庫)’인 ‘S-Space’ 방문횟수가 2008년 12월 도입 이후 1년 간 모두 139개국에 걸쳐 3만7,193회에 달했다고 하는데요, 이중 8,900여회(24%)가 미국 중국 일본 등 해외에서 찾아온 것으로, 서울대 저작물을 해외 연구자들에게 노출시키는데 일정 정도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 서울대측의 설명입니다. S-Space는 서울대 교수나 학생들이 논문 등 자신의 저작물을 올려놓고 이용자가 이를 내려 받을 수 있는 디지털 저작물 보관소로서 28종의 저널과 학위논문 3만여건 등 총 4만여건의 자료가 담겨 있습니다.
기사 원문을 아래에 링크합니다.

Related Link : 기사 원문보기, S-Space Homepage

2010/03/01 월|
Go to Top